국내축구

이 땅의 프랜차이즈 축구단 정리

by roadcat posted Apr 25,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협회에서 지정해서 연고지를 배정하던 광역연고제 시절은 건너 뛰고, 도시연고제가 시행하던 때부터 온당한 연고의식이 시작되었다 봤을 때, 이 땅에서 연고이전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한 팀들이 있다. 일단 광역연고제 시절까지 소급해서 이 땅의 프랜차이즈 프로축구단의 팀명 변경과 팀 구분을 살펴 정리해 보려 한다. 지자체구단이야 뭐... =_=;;


(현재 순위순)


1. 포항제철축구단 = 포철축구단 = 포항스틸러스


2. 전북 버팔로 -> (현대자동차 인수) 전북현대 다이노스 = 전북현대모터스


3. 유공 코끼리 = 부천SK = 제주유나이티드

  So, 이 팀을 SK 축구단이라 한다. 스스로도 자기들 보도자료에 팀명을 '제주 유나이티드(SK에너지축구단)' 이라 적을 정도.


4. 수원삼성 블루윙즈 (삼성전자 -> 제일기획 인수)


5. 현대 호랑이 = 울산 현대 호랑이 = 울산 현대 (중간에 현대자동차에서 현대중공업으로 인수된 과정 있음)

  도시연고 설정 이전인 90년도서부터 울산


6. 전남 드래곤즈


7. 대우 로얄즈 = 부산 대우 로얄즈 -> (현대산업개발 인수)부산 아이콘스 = 부산 아이파크

  아마, 개농판 같이 개축판이 돌아갔으면 현대산업개발이 인수하며 연고이전 감행했을지도...


8. 일화 천마 = 천안 일화 천마 = 성남 일화 천마 -> (성남시 인수)성남FC

  이 케이스는 애매하다. 라기 보다는, 성남FC도 그대로 고스란히 인수한 것으로 봐야 된다. 일화 천마 시절의 우승 횟수나 업적 등을 고스란히 가져다 놨으니..ㅇㅇ 다만, 일화 축구단이라고 하기에도 애매한 상황이 되어버린 게 함정..


9. 럭키금성 황소 = LG 치타스 = 안양LG치타스 -> (모기업의 분리독립으로 LG -> GS) FC서울

  서울연고 구단이라면서 구단 레전드라고 챙기는 양반들은 안양 연고지 시절 이영표와 럭키금성 황소 시절 피아퐁. 내가 만일 서울엔 FC서울을 외치는 이라면 각목 들고 구리 챔피언스파크 털러 간다.


10. 대전 시티즌 (컨소시엄 형태 창단 -> 대전시 인수)


11. 고양hi FC

  할렐루야네 임마누엘이네 복잡시러운 프랜차이즈 운영이 아마추어 시절에 있었지만 프로화 이후로는 그냥저냥. 하지만, 확실히 이 팀이 고양으로 오겠다고 의사표명하지 않았다면, 전통의 KB축구단이 그렇게 쉽게 해체를 이야기할 수 있었을까?


12. 충주 험멜

  아마추어 시절에는 내리그 규정도 규정이고.. 이래저래 노원 의정부 충주 등지로 다녔던.. 프로화 이후로는 그대로 눌러앉을듯?